헤더 -> 요청, 응답에 정보
- HTTP 요청/응답
- 요청과 응답은 헤더와 본문을 가지고 있다.
- 헤더는 요청 또는 응답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곳이다.
- 본문은 서버와 클라이언트
요청 전문
- 일반 헤더(General header) 요청과 응답 모두에 적용 , 바디에서 최종적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와는 관련이 없는 헤더
- 요청헤더(Requset Header) : 요청하는 쪽에 대한 정보 (URL, 언어, 쿠키, 브라우저 정보 등...)
- 응답헤더(Response header) : 서버 정보, 응답하는 컨텐츠 종류(html, 이미지, JSON 등...)
- 엔티티 헤더(Entity header):엔티티 바디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(컨텐츠 길이나 MIME 타입 등...)
HTTP 요청 메서드(method)
GET : 서버의 자원 요청, 조회, 검색 용도 ...
- 서버 자원을 가져오고자 할 때 사용
- 요청 본문 X
쿼리스트링 : ?community_index=&module=post&action=view&idx=1275360092&post_id=freetalk
POST : 작성(데이터전송)
- 서버에 자원을 새로 등록하고자 할 때 사용
- 요청데이터
- 요청 본문(BODY) O
- 파일 업로드
수정 -PATCH : 부분 수정 , -PUT : 치환(전체 데이터를 변경)
요청 본문(Request Body)
content-type: application/x-www-form-urlencoded << 이 방식을 많이씀
subject=게시글제목&contents=게시글내용.....
content-type: application/json //json 방식
OPTIONS
- OPTIONS : 요청을 하기 전에 통신 옵션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
HTTP 상태 코드
실제 브라우저 화면에 출력되는 데이터
- 2xx - 성공을 알리는 상태코드 200(성공), 201(작성됨)
- 3xx - 리다이렉션(다른 페이지로 이동)을 알리는 상태 코드 301(영구이동), 302(임시 이동)가 있습니다. 304(수정되지 않음)
- 4XX - 요청 오류를 나타냄400(잘못된 요청), 401(권한없음), 403(금지됨), 404(찾을 수 없음)
- 5XX - 서버오류를 나타냄 500(내부 서버 오류), 501(불량 게이트웨이), 503(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음)
서블릿(Servlet)
- 자바 기반
- 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기술
- 웹서버 : 다중 접속(멀티 쓰레드 방식)
- 서블릿 클래스 :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해 작성해야 하는 코드
- 클래스는 '서블릿'으로 만들어진 다음에 실행 즉 서블릿은 서블릿 클래스로부터 만들어진 객체
- 웹 컨테이너는 서블릿 클래스를 가지고 서블릿 객체를 만든 다음에 그 객체를 초기화해서 웹 서비스를 할 수 있는 상태인 객체만 서블릿이라고 한다.
'Servlet-Js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운동기록프로그램(servlet-jsp) Service 부분 #3 (0) | 2022.08.07 |
---|---|
운동기록프로그램(servlet-jsp) 데이터베이스 구성 #2 (0) | 2022.08.07 |
운동기록프로그램(servlet-jsp) #01 (0) | 2022.08.07 |
fmt:formatDate 커스텀 액션(JSP) (0) | 2022.08.04 |
클래스 작성하기(Servlet-Jsp) (0) | 2022.07.29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