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장점이 아닌 것은?
① 데이터의 통합성
② 데이터의 독립성
③ 데이터의 종속성
④ 데이터의 일관성
2. 데이터베이스 관리자(DBA)의 역할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?
① 보안 및 권한부여
② DBMS 개발
③ 스키마 정의
④ 백업 및 회복
3. 데이터베이스 관리자(DBA)가 수행해야 하는 역할로 거리가 먼 것은?
① 데이터 접근 권한과 회복 절차 수립
② 데이터베이스의 구성 요소 결정과 내부 저장 구조 정의 및 수정
③ 데이터베이스 조작어를 호스트 언어에 포함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접근
④ 시스템 감시 및 성능의 종합적인 분석과 성능의 개선
4. DBMS의 필수 기능과 관련 데이터 언어, 사용자의 종류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?
① 저장 기능 - DSL - 일반 사용자
② 조작 기능 - DML - 데이터베이스 관리자
③ 정의 기능 - DDL - 일반 사용자
④ 제어 기능 - DCL - 응용 프로그래머
5. DDL과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?
① 데이터 사전
② 질의어
③ 메타 데이터
④ 스키마
6. DBMS의 제어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데이터의 무결성이 손상되지 않도록 제어한다.
② 모든 사용자가 제한 없이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관리한다.
③ 데이터의 내용에 대한 정확성과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.
④ 여러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에 동시 접근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병행 제어를 한다.
7. DBMS의 주요 구성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① 질의어 처리기
② 트랜잭션 관리기
③ 저장 데이터 관리기
④ 스케줄러
8. DBMS를 통하여 얻는 장점에 속하지 않는 것은?
① 데이터의 중복성
② 데이터의 일관성
③ 데이터 표준화
④ 데이터의 독립성
9. 다른 데이터 모델과 다르게 개념적 모델에 속하는 것은?
① 계층형(hierarchical) 모델
② 관계형(relational) 모델
③ 개체-관계형(E-R) 모델
④ 객체-관계형(O-R) 모델
10. 시스템 카탈로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일반 질의어를 이용하여 그 내용을 검색할 수 있다.
②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.
③ 사용자가 시스템 카탈로그를 직접 갱신할 수 있다.
④ DBMS가 스스로 생성하고 유지하는 데이터베이스 안의 특별한 테이블의 집합체이다.
11. 응용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지 않고 구조를 변경시킬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특성은?
① 데이터의 독립성
② 데이터의 종속성
③ 데이터의 일관성
④ 데이터의 무결성
12. 3단계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구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① 논리 스키마
② 내부 스키마
③ 외부 스키마
④ 개념 스키마
13. 스키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제약 조건, 개체, 속성, 관계 등을 명세한다.
② 내부 스키마는 개별 사용자가 보는 개인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조이다.
③ 여러 개의 외부 스키마가 존재할 수 있다.
④ 오직 하나의 개념 스키마만 존재한다.
14. DBMS의 필수 기능 중에서 하나의 통합된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명세함으로써 여러 응용 프로그램이 요구하는 데이터 구조를 지원하는 것은 어떤 기능에 포함되는가?
① 정의 기능
② 제어 기능
③ 조작 기능
④ 사상 기능
'MySq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데이터베이스의 정석 - CHAPTER 04 연습문제 (0) | 2022.10.18 |
---|---|
데이터베이스의 정석 - CHAPTER 03 연습문제 (0) | 2022.10.18 |
데이터베이스의 정석 - CHAPTER 01 연습문제 (0) | 2022.10.18 |
MYSQL - 인덱스(INDEX) (0) | 2022.10.13 |
MYSQL - CREATE TABLE 문, ALTER 문, DROP 문, CREATE USER 명령문 (0) | 2022.10.13 |
댓글